f 터진수박 (Burst Watermelon) ::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반응형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 2017년 일반가구 조사결과

  • 자가점유율 57.7% 및 자가보유율 61.1%
  • 연소득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 5.6배
  • 월소득에서 월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 17.0%
  •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 6.8년
  • 내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는 비중 82.8%
  • 평균 거주기간 8.0년, 자가가구는 11.1년, 임차가구는 3.4년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 5.9% 및 1인당 주거면적 31.2㎡

 

▶ 2017년 특성가구 조사결과

  • (청년) 절반이상(53.8%)이 월세에 거주하고, 전월세자금 지원 희망
  • (신혼) 전세비중(34.2%)이 높고,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 희망
  • (노인) 대부분 자가(75.3%)에 거주하고, 주택 개량·보수 지원희망
  • (저소득) 월세비중(35.8%)이 높고, 공공임대·전월세자금 지원 희망

 

▶ 주거안정성

 

  • (자가점유율) ’17년 '자가'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57.7%로 ’16년 56.8%에 비해 0.9%p 증가하였다.
  • (자가보유율) ’16년 59.9%에서 ’17년 61.1%로 1.2%p 증가하였다.

 

▶ 주거비 부담

  • (PIR) ’17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rice Income Ratio)는 전국 5.6배(중위수)로, ‘16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으며,
  • (RIR) ’17년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월임대료 비율(Rent Income Ratio)은 전국 17.0%(중위수)로 전월세 전환율 하락(’14년 9.36% →’16년 6.7% →’17년 6.4%) 등으로 '16년(18.1%)에 비해 줄어들었다.

 

▶ 주거이동성

  • (평균 거주기간) ’17년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8년으로 전년(7.7년)에 비해 소폭 늘어났다.
    (주거이동률)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가구 중 35.9%로, ’16년 36.9%에 비해 소폭 줄어들었다.
    (이사이유)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자가주택 마련을 위해’(25.1%), ‘시설이나 설비 상향’(22.2%) 등의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주거수준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06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여 ’14년부터 5%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7년(5.9%, 114만 가구)에는 ’16년(5.4%, 103만가구)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 (1인당 주거면적)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06년 이후 지속 증가해 오다가 ’12년 이후로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7년에는 31.2㎡로 나타났다.
    (주거환경 만족도)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7점(4점 만점)으로 ’16년(2.93점)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 주거의식과 가치관

  • (내 집 마련 의식) ‘17년 기준 국민의 82.8%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14년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주거지원 정책수요

  •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3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임차가구의 57%는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저소득 임차가구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은 62.6%로 높게 나타났다.

 

▶ 특성가구별 주거실태

  • 청년가구
    • 청년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9.2%로 대부분 임차가구이며,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도 일반가구(60.4%)에 비해 매우 높은 71.1%로 나타났다.
    •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일반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년가구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10.5%)과 지하·반지하·옥탑 거주비중(3.1%)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임차가구 비중이 높은 청년가구는 ‘전월세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절반에 가까운 45.1%로 나타났다.

 

  • 신혼부부
    • 신혼부부의 자가점유율은 44.7%로 일반가구에 비해 낮은 반면, 전월세 가구 중 전세가구의 비중은 67.8%로 일반가구(39.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주거비 부담은 일반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신혼부부가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정책으로는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을 응답(43.4%) 하였다.
    • 가족계획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주택마련·주거비·주택규모 등 주거문제’(31.2%)를 1위로 응답하여 저출산 대책에 있어 신혼부부 가구 주거지원의 중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가구
    • 노인가구는 대부분 자가(75.3%)이고, 절반이상이 단독주택(51.2%)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명목상으로는 높지만 실질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노인가구가 가장 필요한 정책지원은 ‘주택 개량·개보수 관련 현물 및 자금 대출지원’을 26.4%로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저소득가구
    • 저소득가구는 자가점유율이 47.5%로 일반가구(57.7%)에 비해 낮으며,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이 75.7%로 높게 나타났다.
    • 저소득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이 22.2%로 일반가구(17.0%)에 비해 5.2%p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저소득가구는 1~2인 가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1인당 주거 면적은 37.1m2으로 넓지만,
    • 저소득가구가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20.1%), ‘전세자금 대출지원’(19.6%), ‘월세 보조금 지원 ‘(17.9%) 등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 주거실태조사 주요 지표 (2006년 ~ 2017년)

  • 주1) ’12년도주거환경만족도는5점척도로조사되어, 다른년도의시계열자료와비교하기위해4점 척도로재계산(’12년5점척도로는3.50점)
  • 주2)PIR은주택가격의중위수/가구연소득의중위수
  • 주3)RIR은월임대료의중위수/가구월소득의중위수
  • 주4)전월세전환율은주택가격조사(국민은행)및월세동향조사(한국감정원)의월세이율을활용.
    • ’06년10월(0.99%),’08년10월(0.98%),’10년8월(0.96%)(국민은행주택가격조사전국월세이율)
    • ’12년7월(0.87%),’14년8월(0.78%),’16년8월(0.56%),’17년8월(0.53%)(한국감정원월세동향조사월세이율)
  • 주5)임차가구에는전세와월세(보증금있는월세,보증금없는월세,사글세및연세)로거주하는가구가 포함되며,무상거주가구는제외
  • 주6)’12년‘주택보유에대한의식’은다른년도와보기항목이달라직접비교곤란 (’10,’14,’16,’17년도는2점척도로조사되었으며,‘12년도는5점척도로조사)

 

▶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주요 지표(특성가구)

  • 주1)청년가구는가구주의연령이만20세~만34세인가구
  • 주2)신혼부부가구는혼인한지5년이하,여성배우자나이가만49세이하인가구
  • 주3)노인가구는가구주의연령이만65세이상인가구
  • 주4)저소득층(1~4분위),중소득층(5~8분위),고소득층(9~10분위)
  • 주5)PIR은주택가격의중위수/가구연소득의중위수
  • 주6)RIR은월임대료의중위수/가구월소득의중위수
  • 주7)전월세전환율은월세동향조사(한국감정원)의월세이율을활용.’17년8월(0.53%)
  • 주8)임차가구에는전세와월세(보증금있는월세,보증금없는월세,사글세및연세)로거주하는가구가 포함되며,무상거주가구는제외
  • 주9)청년가구,신혼부부의생애최초주택마련소요년수는가구주가된기간이짧으므로해석에유의

 

 

업데이트 글 보기 (For more information, visit main hompage) : http://gturl.iptime.org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urst Watermelon

교육의 모든 정보,투자,부동산,유용한 정보들

,